2016-06-05

[별별시선]‘서프라제트’에서 배운다

20세기 초 영국. 그나마 개혁적이고 온건하며 사회변화를 추구한다는 자유당이 여당이었고, 자유당의 가장 큰 맞상대는 보수당이었다. 노동당과 아일랜드 자치파 등은 그 틈바구니 속에서 자신들의 지분을 최대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그와 비슷한 사회적 신분 및 교양 수준을 가진 이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자유당을 지지했다. 수많은 여성 참정권 운동가들처럼 말이다.

자유당은 그러한 기대를 저버리고 여성들의 권리를 한없이 유보시켰다. 그럼에도 자유당은 자신들이 ‘차악’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에멀린 팽크허스트의 자서전 <싸우는 여자가 이긴다>를 인용해보자. “자유당은 여성이 투표권을 혹시 얻게 된다 해도 자유당을 통해야만 하는데, 자유당을 공공연히 적으로 돌리는 여성들에게 투표권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냐며 비난했다.”

이것은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른바 ‘잠재적 아군’들의 논리다. 너희들이 지금 뭘 요구하는지 모르지 않지만, 당장 그것보다 시급한 일이 산적해 있다. 그러니 일단 너희들의 요구사항을 접어두고 ‘대의’에 복무하라. 우리 ‘잠재적 아군’들을 적으로 돌리지 말고 ‘조곤조곤’, ‘사근사근’하게 설득하는 태도를 보여라.

이런 주장에 혹하는 사람들 역시 예나 지금이나 여전하다. “여성 자유당원이나 합법적 참정권론자들 역시 이런 현명한 체하는 논의를 펼쳤다. 그들은 정당을 위해 일하는 것만이 제대로 된 방식이라고 충고했다.” 서프라제트(선거권을 쟁취하려는 여성들)는 콧방귀를 뀌며 자유당을 상대로 한 낙선 운동을 벌였다. 그 결과를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이렇게 회고한다. “우리가 진지하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자유당 후보를 낙선시키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후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잠시 우리의 현실로 돌아와보자. 한반도 역사상 단 한 번도 여성들은 인간으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했다. 사회적 차별은 말할 것도 없다. 인터넷이 전국 방방곡곡에 깔리면서 상스러운 여성혐오적 표현이 전국을 누볐다. 짧은 치마를 입은 여성의 뒷모습, 약물에 정신을 잃고 나체가 된 사진, 원치 않게 촬영된 성관계 장면 등을 남자들은 돌려보고 시시덕거리며 자기들끼리 품평회를 즐겨왔다.

이 도저한 차별과 폭력과 혐오와 멸시의 역사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몇몇 용감한 여성들이 바로 그 공격적인 언어를 되돌려주는, 이른바 ‘미러링’을 시작하면서부터다. ‘김치녀’라고 10년 넘게 멸시당해오던 여성들은 이제 더 이상 ‘하지 마세요’라고 설득하려 들지 않는다. 대신 남자들을 향해 ‘김치남’이라고 맞받아친다. 놀랍게도, 그러자 비로소 남자들이 ‘온라인 언어폭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자기들도 맞아보고 이제서야 아프다는 걸 깨닫는 중이다.

“나는 이 시위를 지휘할 것이고, 돌멩이야말로 내가 사용하려는 논쟁 방식입니다. 돌멩이야말로 가장 쉽고 직접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서프라제트는 돌을 던져 유리창을 깨고, 우체통에 불을 지르면서 여성 투표권을 외쳤다. 우리가 오늘날 당연하게 여기는 여성의 투표권은 바로 그렇게 쟁취된 것이다.

‘미러링’이 불편한가? ‘증오의 총량’이 늘어날까 우려되는가? 20세기 초의 서프라제트와 달리, 21세기 초 대한민국에서 여성혐오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유리창 하나도 깬 적 없다. 한없이 온건하게 포스트잇을 붙이고, 슬픔을 나누고, 지금까지 너무도 속 편하게 기득권으로 살아온 ‘한국 남자’들의 행태를 거울에 비춘 듯 되돌려 보여줬을 뿐이다. 혹자는 여성혐오를 둘러싼 현재의 논란이 ‘남녀 대결 구도’로 향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아니다. ‘남녀 대결 구도’가 맞다. 그리고 여자들이 이겨야 옳다. 여성혐오와 맞서는 여성들을 한 사람의 남성으로서 전적으로 지지한다.


입력 : 2016.06.05 20:35:01 수정 : 2016.06.05 20:38:2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6052035015&code=990100&s_code=ao122#csidx61e949ec133181684245e6a55eeafc2

댓글 4개:

  1. 20세기 초와 지금 한국은 달라도 너무 다르니 유리창 예시는 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한국 사람들은 뭐든 간에 이런 방식의 운동 및 방법론에 대해 비난하긴 합니다만... 요는 편리하게 딱 잘라 말할 수 없다는 겁니다.

    확실히 해당 단체 및 현상에 의해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건 사실입니다. 그런데 그이후의 일, 그 반향에 대해서 속단하는 건 비평이나 대중이나 똑같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디테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구요. 편리한 옹호와 편리한 비난인데, 농담이지만 이것도 무슨 미러링처럼 느껴지는군요.

    답글삭제
    답글
    1. 여성이 억압당한다는 기본적인 사실이 동일하다, 이 이야기를 하는데 그냥 다짜고짜 예시가 안 맞는다 어쩐다 하시면, 저로서는 이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죠. 아, 뭔가 이 칼럼에서 트집을 잡고 싶은데 딱히 걸리는 부분이 없나보다. 내가 잘 썼군...

      삭제
    2. 무슨 말을 하는지야 알죠. 여성이 문화 전방위적으로 억압당하는 위치에 있는 거 누가 모르겠습니까모른다고 하면 정말 모르거나 혹은 거짓말쟁이겠죠). 그러나 그 설득력과 관련된 디테일을 지적하는데 트집쟁이로 몰고 가시면 저 또한 당황스럽습니다.

      다만 편리함 운운 한 것은, 저도 편리하게 프레임 짜서 수준 낮은 주장을 편리하게 하는 일개 필부일 뿐이므로 이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사실 이거 과한 표현 같아서 사과하러 왔는데 이미 늦었군요.

      다만 솔직한 심정인 건 맞습니다.

      삭제
    3. 여성에게 투표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방직의 여성 노동자들은 알몸시위를 벌여야 했고, 구사대는 그들에게 똥물을 끼얹었습니다. 이게 불과 한 세대 전에 벌어진 일입니다. 최근의 사례들을 일일이 나열해볼까요? 그럴 필요는 없겠죠. 게다가 그 억압은 "문화 전방위적"인 것만도 아닙니다. 그건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죠. 왜냐하면 경제적, 사회적 억압이 현존하니까요.

      님은 지금 굼싯굼싯 눈치를 보면서 제 심기를 불편하게 하고 싶을 뿐입니다. 시간 낭비처럼 느껴집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