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콘서트]지상 위의 방 한칸
입력 : 2013-02-06 21:22:09ㅣ수정 : 2013-02-06 21:22:09
이 신문이 하나의 건물이라고 생각해 보자.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1층이 1면이고, 맨 마지막 페이지의 광고는 건물 옥상에 얹혀져 있는 옥외광고라고 연상해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설은 꼭대기층에 놓여있는 펜트하우스 같은 것일 테고, 비슷한 방식으로 이런 저런 지면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비유를 연장해보자. 어떤 신문이 필자에게 칼럼을 쓰게 해준다는 것은, 다른 식으로 이해해 보자면, 어떤 공간을 임대해 준다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물론 건물주는 임대료를 받는 반면 신문사는 원고료를 준다. 하지만 건물주가 자신의 건물에 들어올 업체의 성격, 종류, 매출 규모 등을 세심하게 따지듯, 언론사 역시 ‘외부 필자’들을 선별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 지면의 이름은 ‘2030콘서트’이다. 본인을 포함해 다섯 명의 젊은 필자가 돌아가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는 그런 공간인 것이다. 바로 그 지면의 속성과 내력을 꼼꼼히 따져보면 우리는 작년말 대선과정 및 ‘멘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통찰을 얻을 수 있다.
20대 담론이 본격적으로 거론된 것은 2008년 무렵이다. <88만원 세대>가 베스트셀러가 됐고, 촛불시위 과정에서 ‘촛불소녀’로 불리던 당시의 고등학생들에 대한 기대가 솟아올랐으며, 반대급부로 역시 당시의 대학생들이 ‘이명박 찍어놓고 등록금 올랐다고 울먹거리는 바보들’ 취급을 받기 시작했다.
가난하고 불쌍해서건, 피터지는 ‘스펙’ 싸움을 해야 해서건, 자기들이 정권 뺏겨놓고 20대 투표율이 낮아서 졌다고 우기는 386에게 매도를 당하고 있어서건, 20대는 어떤 식으로건 화제의 중심에 섰다. 이른바 ‘20대 논객’들이 몇명 거론되고, 그들을 한데 묶어 신문 지면을 내주기 시작한 것도 그 무렵의 일이다. 과거 어느 시점부터 활동하고 있었느냐에 따라 개별적인 차이가 있겠지만, 아무튼 일군의 젊은 필자들이 ‘20대 논객’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그들이 나이를 먹어 30대에 접어들자 ‘20대 논객’은 ‘2030 논객’이 되었다. 그것을 성장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게다가 비슷한 구성원들이, 필자가 군 입대로 인해 2년여의 공백을 갖기 전과 비교했을 때 거의 차이가 없는 방식으로, 하나의 공간을 함께 쓰고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이 신문을 하나의 건물로 비유하자면, ‘20대 필자’들 혹은 ‘2030 논객’들은 여전히 고시원 혹은 자취방 생활을 하고 있는 셈이다.
2030 논객들이 신문지상의 방 한 칸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이 모습은, 바로 그들이 대변하고자 했던 세대의 현황을 거의 완벽하게 은유하고 있다. 고시원에 사는 20대가 최저 시급도 못 받고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이 결코 새삼스러운 사회적 논란거리가 되지 않듯, 2030 필자들이 신문 지면에 오르내리는 것 역시 어떤 형식의 일상이 되었다.
20대 담론의 이름으로 제기된 수많은 문제들 중 유독 반값등록금만이 사회적 의제로 자리잡은 것은, 그것이 ‘노동자’가 아니라 ‘소비자’인 20대의 문제이며, 동시에 그 등록금을 내거나 최소한 보증이라도 서줘야 할 그들의 부모가 얽힌 문제였기 때문이다. 바로 그 부모들은 몇몇 보수적 일간지의 적극적인 여론몰이에 힘입어, ‘하우스푸어’라는 불행의 완장을 차고 선거 국면을 주도했다. “우리 집값이 떨어지게 생겼는데 너희들 등록금이라도 내려야 하지 않겠니”라는 소비자 주권의식 하에 두 세대의 목소리는 하나의 선거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죽은 것은 ‘일하는 20대’의 신음소리요, 살아남은 것은 ‘돈 내는 20대’의 함성이었다. 20대 담론은 막을 내린 것이다.
여기까지 놓고 보면 절필 선언이라도 해야할 것 같다. 물론 필자는 그럴 생각이 없다. 다만 함께 생각하면서 다음 단계를 고민해 보자는 것이다. ‘불쌍한 20대’ 그 너머의 무언가를.88>
저는 기고가님의 글이 20대의 다양한 '층위'를 알라는 말씀으로 읽힙니다.
답글삭제이 땅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사회적 층위는 핏줄이랑 돈줄밖에 없지요 그러니 소비자로서 민감하고 혈족으로서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차치하고 하나만 여쭙겠습니다. 사람들이 더 다양한 층위를 인식할 방법이 있나요?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