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20

지행합일에 관하여

포이에르바흐에 대한 열한번째 테제는 하이게이트 묘역의 마르크스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 “철학자들은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를 해석해왔을 뿐이다. 문제는 그것을 변화시키는 것이다”라고 쓰여 있다. 이 테제는 일반적으로 철학의 영향력은 중요하지 않으며, 혁명적 실천이 관건이라는 식으로 독해되었다. 전혀 그런 종류의 뜻이 아니다. 마르크스가 말하고자 한 것은,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수동적으로 해석하는 것만으로는 철학의 문제들이 해결될 수 없으며, 세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철학적 모순을 해결하는 것은 세계를 다시 주조하는 것으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세계를 바꿔야만 한다는 것이다.
43p, Singer, Peter, Marx: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여기서 마르크스가 제기하는 문제를 '지행합일의 문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행합일이란, 통상적으로 그렇게 여겨지는 것과 같이 앎의 목표도 아니고 실천의 목표도 아니다. 그것은 앎과 행동함의 공통된 대전제인 것이다.

왜 실천하는가? 여기서 피터 싱어가 말하는 마르크스에 따르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실천하지 않는다면 철학적인 문제가 해결되지도 않는다.

여기서 우리는 한층 더 본질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왜 세계에는 철학적인 문제 따위가 존재하는가? 아무튼, 우리는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안다. 그렇다면 그 해답은 우리의 손에 있지 않고, 해답이 없기 때문에 결국은 실천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앎과 실천의 문제를 이와 같이 엮어놓는 한, 실천하지 않을 경우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통속적인 지행합일에 대한 관점과 이 해석은, 비슷해보이지만, 사실은 같지 않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 누군가에게 지행합일을 요구한다는 말은, 어떠한 윤리적 당위를 전제하고 있으며, 그 당위로부터 연역되는 기준에 삶을 맞춰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통상적인 의미에서 지행합일이란 '지'와 '행'의 분리 및 양자 사이의 닿을 수 없는 간극을 전제한다.

반대로 피터 싱어가 해석하는 마르크스의 철학은 '지'와 '행' 사이의 분리를 궁극적으로 부정하기 위해 지행합일을 주장한다. 물론 이것은 마르크스가 공부했던 헤겔 철학의 어떠한 해석을 통해 도출되는 당연한 결론이지만, 이 경우 우리는, 설령 그렇게 합일에 도달한다 해도, 그 '지'나 '행' 혹은 양자의 변증법적 종합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 아닌지, 진리에 대한 대응론적 관점에서는 검증할 수 없다. 이 경우 남는 것은 그저 막연한 '정치' 뿐이라는 비판이 가능해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