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19

미국의 간선제와 땅의 힘

미국의 간선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한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훨씬 더 근본적인 요소가 자리잡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미국의 '힘'이 어디서 나오느냐, 이 원초적인 문제 말이다.

미국의 '힘'은 어디에 있을까? 제도라던가, 기축통화인 달러라던가, 군사력이라던가, 여러 해석이 가능하다. 그런데 그 중 가장 근본은 미국이라는 나라가 자리잡은 땅덩이에 있다. 캐나다나 멕시코가 미쳐 날뛰지 않는 한, 미국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좌우에 두고 있어 육로로 침공이 불가능한 나라다.

어디 그뿐인가. 미국의 내륙은 미시시피강이라는 굵직한 강줄기 덕분에 산업화의 초기부터 해양 운송의 덕을 톡톡히 보았다. 가령 중국이나 러시아 같은 여느 내륙 국가와는 다른 여건이라는 말이다. 한술 더 떠서, 19세기에 세계 최초의 통상적인 유전이 개발된 곳도 미국인데, 21세기는 셰일가스의 사우디아라비아가 되어 있다.

석유만 나오면 말을 안 한다. 우라늄도 충분하다. 우라늄만 있는가? 미국의 중서부 평원 지대는, 물론 지금은 많이 황폐화되긴 했으나, 여전히 세계 대다수의 사람과 가축을 먹여살리는 천혜의 곡창지대다. 미국은 철도 있고 밀도 있고 석유도 있고, 우라늄도 있는 그런 나라라는 것이다.

여기서 잠시 일본에 대해 생각해보자. 일본의 인구는 미국의 절반 정도다. 그렇다고 일본이 지금 갑자기 인구가 두 배로 늘어난다 해서 미국과 같은 국력을 가질 수 있을까? 불가능하다. 일본에는 (충분히 쓸만한 양의 많은) 철도 없고, 밀도 없고, 인구 전체를 부양할만한 농업 생산이 불가능하며, 석유는 당연히 없다. 그래서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을 이길 수 없었다.

미국의 힘은, 톡 까놓고 말해, 미국의 땅에서 나온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미국 동부 서부 해안에 사는 리버럴듯이 비웃듯이 지껄여대는 'Flyover States'다. 캘리포니아만 떼어놓고 보면 세계 7위의 경제 대국이라고? 캘리포니아가 미합중국에서 분리 독립하면 아무도 캘리포니아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 미국의 힘은 동부와 서부에 모여 사는 인구와, '건너뛰는 땅'에 있는 그 무지막지한 천연자원의 결합체이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미국을 경험했거나, 미국에서 공부했거나, 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미국의 리버럴, 리버럴이 아니어도 메인스트림의 시각에 자신을 투영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미국이 미국이라는 사실이 너무도 당연하기 때문에, 그들이 사는 나라가 초강대국으로 군림하는 원초적인 이유를 그리 진지하게 고민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그래도 된다. 미국인이니까. 하지만 우리는 그러면 안 된다. 미국인이 아니니까. 미국이 왜 미국인지, 왜 그런 힘을 가진 초강대국이 군림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원인을 잘못 분석하면 '인구 14억을 넘는 중국이 인구 3.5억인 미국을 능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같은 허튼소리나 내뱉게 된다.

미국은 미국의 사람과 제도와 땅이다. 특히 마지막 요소가 정말 무서운 것이다. 그 점을 다들 잘 이해하면, 2020년의 국제정세에 대해 좀 더 좋은 논의가 가능해질 것이다.

댓글 4개:


  1.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피터 자이한 (지은이), 홍지수/정훈 (옮긴이)
    김앤김북스 (출판사), 2018-07-30 (발행일)

    원제 : The Accidental Superpower (2014년)

    답글삭제
    답글
    1. 네, 알고 있는 책입니다. 자이한이 쓴 다음 책도 국내에 번역되어 있고, 그건 2019년에 읽었죠. 전작도 같은 논리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한편 저는 자이한의 논의가 국내에 소개되기 전, 그리고 미국 내에서 각광받기 전, 이미 '미국은 셰일 혁명으로 이전과 달리 세계에서 점점 발을 뺄 것이다, 대비해야 한다'고 신문 지면을 통해서도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https://basil83.blogspot.com/2015/09/blog-post_6.html

      삭제
  2. 아주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요즘 4학년인 둘째가 미국의 산업혁명기에 대해 배우는데 미국은 그 넓은 땅에 영국에서 입증된 기술을 불과 몇년 차를 두고 들여왔죠.
    제가 어제 아이에게 문익점이 목화씨를 붓뚜껑에 숨겨들어왔다는 썰이 한국에 있다고 말해줬는데, 그 이유는 미국 산업혁명기에 공장을 세운 이들 중엔 영국에서 본 설계도면을 아예 외워서 지은 사람이 있더라구요. Samuel Slater. 영국에서 기술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을 세계 최초로 시작했기 때문에 도면을 가져올 수 없었다고요.

    즉, 영국이라는 당시 가장 산업적 측면에서 발달한 나라로부터 직접 들여올 수 있던 기술. 그리고 그것을 들여오는데 있어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언어도 통하고 시행착오도 줄일 수 있었으니 미국이 산업의 황금기를 "일찍" 맞이했다고 생각했습니다.

    포스팅 아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해요.
    혹시 추천도서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이 부분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요.

    답글삭제
    답글
    1. 위 댓글에서 언급된 '피터 자이한'(peter zeihan)이라는 저자의 책들이 유용합니다. 물론 관점에 따라서는 지나친 지리결정론이라는 식의 반박이 가능합니다만, 촘스키와 하워드 진만 읽어서는 알 수 없는 세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확인할 가치는 충분합니다.

      미국이라는 나라를 만드는 또 하나의 힘은 영국이 전 세계에 깔아놓은 '영어 제국'에 있기도 합니다. 영국에서 만들어진 기술이 미국에 곧장 도입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보니 더더욱 그 생각이 납니다. 미국 영국 뿐 아니라 남아공, 호주, 인도 등 영어를 쓰는 나라의 유능한 인재들이 모두 미국으로 모이죠. 호주에서 가장 예쁜 니콜 키드먼, 호주가 낳은 상남자 휴 잭맨 등도 모두 결국 할리우드에서 배우 하고 있으니까요. 이런 '범 잉글리시 제국'에 대해서도 누군가 깊이있게 다뤘을 법한데 제 머릿속에 레퍼런스가 딱 떠오르지는 않네요. 하하.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