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0일 새벽,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관계들을 놓고 이야기해보자. 세월호 선장 이모씨를 포함해, 세월호 침몰이 시작된 직후 탈출한 선원들은, 탑승객 구조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부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특히 비난의 화살은 선장에게 집중적으로 쏠리고 있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법에 따라 엄정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다.
구조 의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면 세월호 선장 및 승무원들의 잘못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 안내방송을 듣고 선실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학생들을 생각하면 나 역시 분노가 치밀어오르고 눈물이 핑 돈다. 어쩌면 그들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적시에 구조 작업이 진행되지 못했고, 지금의 막대한 인명 피해가 빚어진 것일지도 모른다. 일부 언론 역시 세월호 선장 및 귀환 선원들의 책임과 처벌에 집중하는 듯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사고 수습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현장을 떠난 선원들, 특히 선장의 책임은 그 어떤 수사학을 동원한다 해도 변론하기 어렵다. 하지만 세월호 선장에게 돌을 던지는 여론에 동참하기 전에 한 가지 사실을 먼저 떠올려보자.
세월호 선장과 선원들에게 구조 의무가 발생한 이유는 배가 침몰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 세월호의 정확한 침몰 원인을 모른다. 이대로라면 제2, 제3의 세월호 침몰사건이 또 발생하지 않으리라고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종자, 사망자, 구조자,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해, 우리는 세월호가 침몰한 이유를 확인해야만 한다.
사회학자 찰스 페로는 <무엇이 재앙을 만드는가?>(원제: Normal Accident)에서, 일상적이고 사소하지만 평범하기 짝이 없는 실수와 오류가 몇 개 이상 중첩될 경우 대형사고가 발생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른바 ‘정상 사고’ 이론이다. 그에 따라 세월호 침몰을 검토해보자.
세월호는 일본에서 18년간 운항한 후 국내에 수입되었다. 한편 2009년 해운법 시행규칙이 변경되어 여객선 선령 제한이 20년에서 30년으로 늘어났고, 그래서 2014년에도 세월호는 퇴역하지 않고 인천-제주 간 승객 및 화물선 노릇을 할 수 있었다. 세월호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넘어온 후 선실을 증축하였는데, 그로 인해 배의 무게중심이 높아졌다. JTBC의 보도에 따르면 세월호의 선원들은 배의 균형을 잡아주는 평형수 탱크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해왔다. 또한 대형 로로선이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을 주는 ‘스테빌라이저’ 역시 작년부터 고장난 상태였다는 증언이 있다.
세월호는 로로선이었다. 로로선이란 자동차들이 자가 동력으로 승·하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박이다. 흘수선 가까운 곳에 출입구가 마련되며, 그에 따라 다른 여객선에 비해 침수 가능성이 더 높다. 배가 흔들릴 경우 차량이라는, 본래부터 이동을 목적으로 만든 대형 화물이 쏠릴 가능성 또한 커지는 것이다. 게다가 세월호 선원 중에는 탑재된 컨테이너가 쇠사슬이 아닌 밧줄로 묶여 있었음을 증언한 사람이 있고, 승객 가운데 일부는 컨테이너가 무너졌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사고 발생 전날, 짙은 안개 속에 예정보다 2시간 늦게 인천항에서 출항했다. 도착 시간을 맞추기 위해서였는지 평소에는 택하지 않는 다도해로 들어섰다. 그중에서도 물살이 빠른 맹골수로를 운항할 때에는 항해 순번에 따라 해당 해협에서 항해 경험이 없는 20대의 3등 항해사가 키를 잡았다. 세월호는, 취객처럼 비틀거렸고, 바다 위에 쓰러졌다.
세월호가 침몰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보면, 이 선장의 잘못은, 컨테이너를 밧줄로 묶은 해운사 직원이나, 스테빌라이저 수리를 거부한 선박 회사의 그것과 같이, 그저 ‘사소한’ 것일지도 모른다. 일상화된 잘못이 쌓여 큰 재앙을 낳은 또 하나의 사례일지도 모른다. 그의 도주 행위에 대해 면죄부를 주자는 말이 아니다. ‘침몰 원인’과 ‘참사 원인’을 구분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은 선장에 대한 처벌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배가 침몰하게 된 ‘사소한’ 원인과 잘못을 냉정하게 조사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매뉴얼을 준수하는 위험 관리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그렇지 않는 한, 우리는 ‘사고’가 ‘정상’인 사회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입력 : 2014-04-20 21:00:29ㅣ수정 : 2014-04-20 21:00:2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4202100295&code=990100&s_code=ao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