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06

혜민, 혹은 종교인의 (너)무소유에 대하여

젊고 세련되고 교양 있고 세속의 인간들과 잘 어울리는 승려. 조계종 뿐 아니라 사실 전 세계의 불교계가 원하는 아이콘의 모습이긴 했다. '무'소유가 아닌 '너무'소유를 보여주고 있는 혜민을 보며 드는 생각이다.

문제는 그 소유가 온전히 개인의 것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 종교 단체가 많은 부를 쌓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끌어들이는 온갖 자선사업, 기부, 교육사업, 약자 돌봄 같은 가치를, 심지어 겉치례로도 동원하고 있지 않다는 것.

혜민을 옹호하기 위해 동원되는 논리 중 '무소유에 집착하지 말라'는 말도 참 이상하게 악용되고 있다. 그런 건 지나친 고행을 하거나, 굶어 죽기 직전까지 스스로를 학대하고 밥을 안 먹거나, 차 타고 와도 될걸 굳이 걸어와서 보는 사람 불편하게 만드는 그런 극단적 행위자들에게나 할 소리다.

조계종에도 나름의 문제가 없지 않을 것이다. 많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역사와 전통을 가진 종단인만큼, 승려의 재산 소유에 대해 이미 분명한 답을 내려놓았다. 당연히, 중은, 제 몫의 재산을 가져서는 안 된다.

"조계종은 종단 법령인 ‘승려법’으로 소속 승려가 종단 공익이나 중생 구제 목적 외에 개인 명의로 재산을 취득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서유근, "남산뷰·뉴욕뷰 ‘건물주 논란’ 혜민 스님 “크게 반성…중다운 삶 살겠다”", 조선일보, 2020년 12월 3일.

중이라고 해서 돈 벌면 안 되냐, 정당하게 책 써서 판 돈이면 괜찮지 않냐, 이런 소리를 하는 분들을 퍽 많이 접해서 요즘 놀라고 있는 중이다. 

당연히 중 뿐 아니라 모든 종교인은 돈벌이 자체가 목적인 활동을 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들의 활동은 본질적으로 사후세계의 위안을 약속하며 현세의 재물과 지위를 받아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공포를 이용하여, 무에서 유를 창출하는 것이 종교다. 따라서 종교를 이용한 돈벌이를 정당하다고 해버리면 세상은 온갖 사이비 잡종교인으로 넘쳐날 수밖에 없다.

'정당하게 번 돈'을 인정해야 한다는 어떤 당위가, 잘못된 영역에서 엉뚱한 사람을 옹호하는 논리로 오용되는 것 같아서 씁쓸하다.

댓글 3개:

  1. 거꾸로 말하면, 현대 사회에서 종교인은 더 이상 종교인으로 인식되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교회나 절 다니는 사람들 중에서도 진지하게 '하나님(부처님)이 계시냐' 물으면 확신은 못하는데 위약 효과 때문에 출석한다는 사람들 수두룩하덥니다.
    그렇다면 현대 사회에서 종교인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딱 김제동 혹은 청춘팔이하는 강연자들 같은 '듣기 좋은 말 해 주는 사람'인 거지요. 비판적으로 생각하기 싫은 사람들과 비판적 사고를 거세하는 사람들의 완벽한 윈윈 현상입니다.
    김제동이나 자칭 청춘멘토가 개인의 부를 축적하는 걸 뭐라 하는 사람이 없잖아요 :)

    저는 현대에 나타나는 양상의 측면에서 정통과 사이비의 차이는 제도권의 용인 여부 정도라 생각하므로, 온갖 명목의 헌금 역시 제도권에서 용인한 부정신학 기반의 갈취(…)로 봅니다.
    기왕지사 돈의 망자라면, 열심히 돈을 벌게 하고 세금을 왕창 뜯어내버리자고요. 대체 왜 인간 나부랭이가 감히 신성한 납세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지 옛날부터 의문입니다 ㅋㅋㅋ

    답글삭제
    답글
    1. 물론 그렇게 보실 수도 있지만, 또 의외로 종교를 진심으로 믿는, 가령 천국과 지옥 같은 개념을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이들도 없지 않죠. 그런 사람들의 단순한 열정이 모여 제도로서의 종교를 가능하게 하기에, 종교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사회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게 바로 혜민과 김제동의 차이일 테고요.

      삭제
    2. 이건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말씀하신 대로 종교는 기본적으로 사후세계의 위안을 약속하는만큼 현세에 대해선 필연적으로 개인의 여러 욕망에 대한 억제력으로 발현됩니다.
      더군다나 불교의 승려들은 혼자 부처가 되겠다고 세상을 등지고 산 속에 들어간 사람들이지요.

      저도 헤세의 작품들을 매우 사랑하고, 늘 구도자의 삶을 이상향으로 삼기 때문에 그러한 선택을 하는 승려들을 경외하는 편입니다만,
      대체 왜 승려가 세상의 이목을 끌고 오탁한 것들을 누리며 강연을 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느 학계, 업계든 아이돌적 존재가 있으면 대중의 관심을 끌어 자본을 끌어들이고 신규 유입 인력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종교엔 이미 수천년 전부터 자기들이 떠받드는 아이돌(우상)이 있는데 과잉 공급이 아닌가 싶어요.

      유명한 종교인들이 꼭 넋두리로 하는 얘기가 '달을 가리키는데 사람들은 손가락만 본다'죠. 정작 자기가 사라져도 달은 늘 하늘 위에 떠 있는데 말이죠.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