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20

한국, 한국인은 어디에 있을까

이번 호 FP 한국어판은 "세계 100대 지성"을 커버스토리로 앞에 올렸습니다. 영어판의 커버스토리는 "이스라엘을 다시 생각한다"입니다만, 한국어판 편집부는 장시간의 토론 끝에 "세계 100대 지성"을 커버스토리로 선택했습니다. "세계 100대 지성"은 원래 FP Index용 기사였습니다. 이 기사의 원문을 처음 받아들었을 때, 저희 편집부원들은 FP가 선정한 세계 100대 지성인으로 한국인 중에서는 누가 뽑혔을까 궁금했습니다. 더 솔직히 말씀드리면 눈에 불을 켜고 한국인 이름을 뒤져보았습니다. 한국 사람 이름은 없었습니다. 실망스러웠습니다. 사실입니다. 더욱 실망스러운 것은 이 100대 지성인의 명단 속에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의 이름이 여럿 들어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100대 지성 명단이 절대적인 것은 물론 아닙니다. 그렇다고 무시할 만한 것도 아닙니다. 어쨌든 한국인은 단 한 사람도 이 명단에 들어 있지 않습니다. 아직 한국이 세계적 지성을 배출시키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게다가 세계적으로 의미 있게 다루어지는 지식인 가운데 처음 그 이름을 대하는 사람이 여럿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할 말을 잃고 맙니다.

이번 호에는 "중국의 아프리카 ‘대공습’"이 실렸습니다. 필자 세르쥬 미쉘은 1년 반이 넘는 취재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진출한 중국의 성공담, 아프리카 현지에서 겪는 어려움과 그 까닭에 대해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랜 세월 세계 강대국의 착취 대상이었던 아프리카, 세계의 공장으로 탈바꿈하며 막대한 외화를 손에 거머쥐었지만 국제 사회로부터 존중받지는 못하고 있는 중국,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을 바라보며 아프리카 재진출의 기회를 엿보고 있는 유럽, 이 삼각축의 각축을 박진감 있게 그려내고 있는 저널리즘의 수작을 꼭 한번 일독하시길 권합니다. 국제 문제에 단지 ‘관심’을 갖는 차원을 넘어, 국제 문제를 ‘국제적’인 차원에서 파악하는 것이 무엇인지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한때 우리는 이스라엘을 한국의 ‘롤 모델’로 삼았던 적이 있습니다. ‘유대인 다음으로 한국 사람들이 머리가 좋다’는 식의 말들이 숱하게 떠돌았습니다. 이스라엘에 관한 한 우리는 어렴풋한 기대의 ‘막’을 한꺼풀 씌워 놓고 있었습니다. 그런 종류의 신화화가 언제부터 어떻게 발생했는가를 추적하는 것은 이 지면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현재의 이스라엘은 우리가 아는 그 ‘이스라엘’이 아니라는 것 하나는 확실합니다. 게르솜 고렌버그는 "이스라엘을 다시 생각한다"에서 우리가 알고 있던 이스라엘을 현실 속의 이스라엘로 대체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그러한 시각 전환에 동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른바 ‘펀드 시대’가 개막하면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늘었고, 따라서 국제 정세 관련 정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늘 어렵고, 어쩌면 정확한 예측이라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매일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도도한 물결에 휩쓸리게 되면 국제 정세에 대한 제대로 된 시각을 갖기 어렵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호 "독자 편지"를 정독해 보실 것을 권합니다. 지난 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던 미국의 경제 위기에 대해, 각국의 석학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깊은 토론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FP 한국어판을 읽는 맛이 어떤 것인지 새삼 느끼시리라 확신합니다.

-한국어판 편집부



* Foreign Policy 5/6월호 한국어판 편집자 서문. 오늘 서점 배본 들어갔습니다. 서울 시내 큰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개별판매나 정기구독 문의는 02-713-0143. 담당자 김신영씨에게 문의하세요. 내가 만들어서 하는 말이 아니라, 정말 좋은 매체입니다.

* 매체 홍보를 위해 올려놓는 것이니 퍼가지 말아주세요.

댓글 2개:

  1.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학생 정토회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대북인권단체인 좋은벗들과 함께 하는데 최근 북한으로부터들어오는 소식이 심상치 않습니다. 곡창지대인 황해남북도에서 아사자가 발생하고 있고, 식량값이 폭등해서, 95-96년의 대량아사위기같은 조짐이 보인다고 합니다. 저희 좋은 벗들 홈페이지 살펴봐주시고 북한 긴급구호를 위한 글을 써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굶어죽어가는 북한동포들을 위해 꼭 부탁드립니다. http://www.goodfriends.or.kr/

    답글삭제
  2. 반갑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제가 북한 긴급구호를 위한 글을 쓰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일인 듯합니다.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전제하지 않더라도, 특히 한국인의 입장에서 외교문제와 통일문제는 엄연히 다릅니다. 제가 가진 최소한의 지식은 통일문제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더욱이 저는 그다지 무게 있는 발언을 해드릴 수 있는 사람이 아니므로, 그리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입니다. 순수한 차원에서 인권 문제를 다루는 다른 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답글삭제